소장형 전자책

- 상상병 환자들
- 저 자 :브라이언 딜런
- 발행자 :작가정신
- 등록일 :2017.06.19
- 보유 권수 :4권
- 공급사 :교보문고
- 대 출 :0/4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상상병 환자들』은 심기증을 겪은 9인의 정신이 육체와 더불어, 그리고 육체에 맞서서 어떻게 작동했는지 탐구하는 책이다. 고통스러운 일상 가운데서도 위대한 성취를 이뤄낸 이들의 삶은 놀랍고 흥미진진하며, 때로는 당신의 삶과 오롯이 겹칠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을 끈을 놓을 수 없으며, 읽고 나면 가슴 한편이 뜨거워질 아홉 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목차
프롤로그 “내가 아프다고 했잖아” 11 -심기증, 그리고 심기증 환자에 대하여 1 계획을 세우고 고치는 일에 광적으로 집착한 우울증 환자, 제임스 보즈웰 33 2 자기 몸에 병이 있다고 생각한 신경병 환자, 샬럿 브론드 72 3 헛배부름을 호소하며 혼자 있고 싶어한 소화불량증 환자, 찰스 다윈 106 4 희생과 헌신에 중독된 신경쇠약증 환자,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136 5 육체의 고통이 예술의 일부라 믿은 감각과민증 환자, 앨리스 제임스 171 6 여자가 되고 싶었던 망상증 환자, 다니엘 파울 슈레버 214 7 약초 연기 자욱한 컴컴한 방의 천식 환자, 마르셀 프루스트 245 8 손가락을 다칠까 봐 악수를 거부한 강박증 환자, 글렌 굴드 279 9 외모 콤플렉스에 시달린 딸기코 청년, 앤디 워홀 312 에필로그 두 개로 나뉜 하나의 몸 351 - 춤추는 마이클 잭슨, 병들고 겁에 질린 마이클 잭슨 감사의 말 364 옮긴이의 말 366 참고문헌 368
저자 소개
저자 : 브라이언 딜런 저자 브라이언 딜런(Brion Dillon)은 1969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이 책은 ‘웰컴 트러스트 도서상’ 최종 후보에 올랐으며, 첫 번째 책인 『어두운 방In the Dark Room』(펭귄, 2005)은 ‘아일랜드 도서상’ 논픽션 부문 수상작으로 뽑혔다. 뉴욕에 본부를 둔 예술문화 계간지 『캐비닛』 영국지부 편집장이며, 『가디언』 『런던 북리뷰』 『뉴 스테이츠먼』 『프리즈』 『아트포럼』 『테이트』 등 미국, 영국, 아일랜드의 예술 잡지, 신문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한다. 지금은 캔터베리에 살면서 켄트 대학 예술인문연구회 연구원으로 일한다. 역자 : 이문희 역자 이문희는 연세대에서 국문학을, 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에서 번역학을 공부한 후 현재 전문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희망의 힘』 『자살의 이해』 『부와 권력의 대이동』 『커피 위즈덤』 『천지창조』 등이 있다.
출판사 서평
누구나 이미 한 번쯤 맞닥뜨린 질병, 심기증! 정신과 육체 사이에서 고통스러워한 상상병 환자 9인의 위대한 삶을 들여다보다 현대인은 항상 어딘가 아프다. 편두통, 관절 통증, 소화불량, 과민성대장증후군 등. 그러나 흔히 ‘스트레스성’이라는 수식이 붙는 각종 질병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그 증세도 다양해서 분명하게 진단 내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때로는 꾀병처럼 보인다. 그래서 이런 증후를 ‘마음의 병’이나 ‘건강염려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들의 기원이 바로 “심기증”이다. 제임스 보즈웰, 샬럿 브론테, 찰스 다윈,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앨리스 제임스, 다니엘 파울 슈레버, 마르셀 프루스트, 글렌 굴드, 앤디 워홀. 이들은 모두 심기증을 앓았다. 그리고 심기증은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그들의 성취에 특별한 영향을 미쳤다. 『상상병 환자들』은 심기증을 겪은 9인의 정신이 육체와 더불어, 그리고 육체에 맞서서 어떻게 작동했는지 탐구하는 책이다. 고통스러운 일상 가운데서도 위대한 성취를 이뤄낸 이들의 삶은 놀랍고 흥미진진하며, 때로는 당신의 삶과 오롯이 겹칠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을 끈을 놓을 수 없으며, 읽고 나면 가슴 한편이 뜨거워질 아홉 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내가 아프다고 했잖아” 방금 전까지만 해도 멀쩡하던 몸이 갑자기 이상하다. 당신은 어깨에 갑작스러운 통증을 느꼈을 수도, 오장육부를 옥죄는 통증에 온몸이 굳었을 수도, 몸의 일부를 뒤덮은 느닷없는 발진을 발견했을 수도, 혹이 있어서는 안 될 자리에 생긴 혹을 목격했을 수도 있다. 불안이 엄습하고 두려움에 휩싸인다. 동료의 건강검진 결과를 듣다가, 희귀병을 앓는 어떤 환자의 인터뷰를 듣다가, 상사의 호된 질책을 떠올리다가 그랬을지도 모른다. 한번 정신에 스며든 의심은 점점 강렬해진다. 모든 징후가 하나의 질병을 가리키는 듯하다. 의심은 확신으로 바뀐다. 그리고 그 병은 당신의 삶을 완전히 바꿔버린다. 이것이 바로 심기증이다. 심기증은 질병과 죽음에 대한 보편적 두려움과 개인의 선·후천적 기질에서 기인한다. 19세기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람이 심기증 증상을 경험했다. 특히 감각이 예민한 작가들은 그 정도가 더욱 심했다. 새뮤얼 존슨, 조지 엘리엇, 토머스 칼라일과 제인 칼라일, 에드거 앨런 포, 찰스 디킨스, 표트르 도스토옙스키, 에밀리 디킨슨, 하워드 휴즈, 제임스 조이스, 사무엘 베케트 등 불세출의 인물 대다수가 심기증을 앓은 것으로 보인다. 『상상병 환자들』은 그중 대표적인 아홉 사람-제임스 보즈웰, 샬럿 브론테, 찰스 다윈,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앨리스 제임스, 다니엘 파울 슈레버, 마르셀 프루스트, 글렌 굴드, 앤디 워홀-의 이야기를 다룬다. 지은이는 9인의 삶을 심기증이라는 렌즈를 통해 들여다본다. 이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심기증이라는 질병이 초래되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심기증이 이들의 유년 시절·가족 및 친구 관계·성격·행복과 불행·사회생활·예술 활동, 나아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마르셀 프루스트에서 앤디 워홀까지, 정신과 육체 사이에서 고통스러워한 9인의 삶 『사무엘 존슨의 전기』로 유명한 영국의 전기 작가 제임스 보즈웰은 계획을 세우고 고치는 데 광적으로 집착했다. 그는 나태를 두려워하는 우울증 환자로 살았다. 『제인 에어』의 작가 샬럿 브론테는 늘 최악의 상황을 상상하며 만성통증과 불안에 시달린 신경병 환자였다.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찰스 다윈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피하고 고독한 시간을 간절히 원한 소화불량증 환자였다. 백의의 천사로 알려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자신을 병사들의 어머니라 믿으며 세상을 장악하고 싶어한 지독한 일중독자였다. 헨리 제임스의 누이동생인 미국의 작가 앨리스 제임스는 감각과민증 환자였다. 그녀는 질병마저 예술 작업의 일부라 믿었고 죽음 앞에서도 의기양양했다. 프로이트가 논문 자료로 이용한 것으로 유명한 『한 신경병자의 회상록』의 저자 다니엘 파울 슈레버는 여자가 되고 싶은 나르시시스트였다. 그는 자신의 성기와 털이 사라지는 망상에 빠졌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작가인 마르셀 프루스트는 약초 연기가 자욱하고 빛이 들지 않는 집필실에 스스로를 가둔 천식 환자였다. 캐나다의 피아니스트 글렌 굴드는 타인과의 신체 접촉을 극도로 싫어했으며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았다. 그는 손가락이 다칠까봐 악수까지 거부하는 강박증 환자였다. 팝아트의 선구자 앤디 워홀은 여드름투성이에 딸기코인 자신의 얼굴과 왜소한 몸을 부끄러워했고, 외모 콤플렉스 때문에 미용 시술에 의존했다. 그들의 위대한 성취를 낳은 질병, 심기증 『상상병 환자들』은 심기증이라는 상상 혹은 실재의 질병이 우리 몸을 상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