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페이스북 심리학
- 저 자 :수재나 E. 플로레스
- 발행자 :책세상
- 등록일 :2017.06.19
- 보유 권수 :4권
- 공급사 :교보문고
- 대 출 :0/4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epub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오늘도 “좋아요”에 집착하는 나와 당신을 위한 심리 처방전! 2015년 8월 24일, 페이스북 하루 이용자가 처음으로 10억 명을 돌파했다. 페이스북의 최고경영자인 마크 저커버그는 “전 세계를 연결하는 일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말로 페이스북의 기록 갱신을 자축했다. 이 책의 저자인 수재나 E. 플로레스 박사는 이러한 전 세계의 가상 연결이 우리의 자기 인식, 기대, 욕구, 인간관계의 모든 측면에 미칠 수 있는 영향들을 깊이 탐색한다. 플로레스 박사는 지난 3년 동안 전 연령대의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페이스북을 비롯한 소셜미디어가 우리의 심리 건강과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통찰을 제공한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 ‘친구 끊기’의 규칙과 영향, 페이스북 인정에 대한 욕구 같은 미묘한 현상 등 페이스북과 관련된 많은 주제들이 훌륭하게 다루어진다. 동시에 그는 소셜미디어 사용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들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페이스북이 문제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견지하며 소셜미디어에 의한 고통을 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일러준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에 의해 정서적으로, 사회적으로 잠식당하지 않으면서도 그 막대한 잠재력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이끈다.
목차
추천의 말 ◈ 11 들어가는 말 ◈ 15 1. 디지털 시대의 관계 ◈ 21 동트기 직전 23 | 가상인가 현실인가 26 | 보여주기 위한 일상 27 | 소셜미디어의 탄생 29 | 중독 현상 32 | 현실감각을 잃어가는 사람들 34 2. 내 프로필 사진이 진짜 나인가 ◈ 39 페이스북과 정체성 혼란 41 | 자기 표현인가 자기 편집인가 41 | 새로운 페르소나를 통한 연결 47 | 삶을 통제하고 싶은 욕망 51 | 페이스북 아바타: 새로운 리얼리티쇼의 주인공 53 | 우리가 가야 할 길 57 3. 내 타임라인에 올렸다면 사적인 것 맞지 ◈ 61 개인정보와 페이스북의 기본 설정 63 | 제발 호응 좀 해줄래요 67 | 그렇게까지 공개할 필요가 있을까 69 | 통제불가능성 76 | 빅브러더 78 | 다운데이팅: 온라인 데이트 80 | 우리는 사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일 수 있는가 82 | 우리가 가야 할 길 84 4. 당신에게는 몇 명의 친구가 있는가 ◈ 89 소셜미디어 시대의 소통 91 | 페이스북 우정이 현실 우정에 영향을 미칠 때 98 | 갈등 해결 100 | 잠깐! 그가 나를 ‘끊었다고?!?’ 101 | 친구 끊기의 규칙 102 | 끊을 것인가 말 것인가 105 | 우리가 가야 할 길 106 5. 복잡한 연애 중 ◈ 109 페이스북에서의 사랑, 로맨스, 유혹 111 | 캣피시: 차세대 사기꾼 112 | 그녀는 단지 ‘친구’일 뿐이야! 117 | 사랑은 복잡하지 않다, 복잡한 건 사람들 123 | 사생활 지키기 124 | 페이스북, 2004년 이후로 스토커들을 돕다 125 | 우리가 가야 할 길 131 6. 십대의 패거리 문화와 클릭질 ◈ 133 십대들만이 가진 페이스북 문제들 135 | 디지털 네이티브 136 | 페이스북만이 문제인 것은 아니다 139 | 새로운 자화상 142 | 섹스, 거짓말, 그리고 뉴스피드 146 | 밀레니얼 세대와 사생활의 종말 150 | 사이버 폭력 156 | 일단 괴롭힘이 시작되면 159 | 부모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62 | 우리가 가야 할 길 166 7. 적보다 못한 친구 ◈ 169 페이스북의 어두운 단면: 감정 조종자들의 해악 171 | 파괴자 173 | 나르시시스트 176 | 순교자 181 | 유혹자 184 | 스토커 188 | 감정 조종자들이 미치는 심리적 영향 194 | 우리가 가야 할 길 195 8. 페이스북 처방전 ◈ 201 소셜미디어 시대의 중독 203 | 슬롯머신 효과 206 | FOMO 209 | 체크인 기능 209 | 모두가 사진가 211 | 당신은 페이스북 중독입니다 212 | 권리와 중독의 경계 214 | 욕망을 부추기는 신기술들 215 | 두뇌와의 연관성 218 | 중독의 심리학 220 | 스키너의 상자 222 | 만약 당신이 페이스북에 중독되었다면 223 | 문제는 페이스북이 아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내라 225 | 페이스북 휴식기 갖기 227 9. 날 좋아하잖아? ‘좋아요’ 좀 눌러 ◈ 229 페이스북에서 긍정과 인정을 구하는 것 231 | 에고 부스트 233 | 페이스북에서의 건강한 인정 235 | 페이스북에서 받는 인정은 진정한 인정인가 237 | 건강하지 않은 페이스북 인정 239 | 우리가 가야 할 길 242 10. 이용당하지 말고 현명하게 이용하자 ◈ 247 페이스북에 이용당하지 말고 당신이 페이스북을 이용하라 249 | 페이스북을 통해 알려진 선행 252 | 아는 것이 시작 254 | 페이스북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255 |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기업들 256 | 나는 나의 프로필 사진인가 258 | 우리가 가야 할 길 259 | 우리에게는 중독을 이겨낼 힘이 있다 262 부록: 사례 연구 ◈ 265
저자 소개
저자 : 수재나 E. 플로레스 저자 수재나 E. 플로레스 Dr. Suzana E. Flores는 미국 임상심리학자. 10년 이상의 임상 경험을 갖춘 소셜미디어 전문가이자 비평가로서, 라디오와 텔 레비전의 뉴스 방송이나 토크쇼, 팟캐스트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아고시 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시카고 로욜라 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캐롤 라이나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수석 임상의로, 일리노이 예술대학 교에서 상담 책임자로, 시카고 심리학 전문대학원에서 겸임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서 개인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역자 : 안진희 역자 안진희는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홍보마케팅 분야에서 일하며 다양한 영화를 홍보했다. 현재는 프리랜서로 일하며 책을 기획하고 번역한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책에 관심이 많다. 《넘어져도 다시 일어서는 아이》 《소년의 심리학》 《부모의 자존감》 《아이와의 기싸움》 《내 어깨 위 고양이, Bob》 《마흔 이후, 누구와 살 것인가》 《오늘 만드는 내일의 학교》 등을 옮겼다. 현재 마포번역집단 ‘뉘앙스’에서 동료 번역가들과 새로운 삶을 실험하고 있다.
출판사 서평
현장의 정신과 상담의가 3년간 수많은 사람들을 인터뷰하며 소셜미디어의 심리적 영향을 연구 분석한 디지털 시대를 위한 새로운 심리 치유서 2015년 8월 24일, 페이스북 하루 이용자가 처음으로 10억 명을 돌파했다. 그날 하루 동안 이 지구상의 사람들 일곱 명 중 한 명은 페이스북에 접속했다. 페이스북 최고경영자 마크 저커버그는 “지금 막 우리는 중요한 이정표를 지났다. 전 세계를 연결하는 일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말로 이 기록 갱신을 자축했다.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심적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심리상담소를 찾고 있었다.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의 영향력을 가볍게 여겼다가 중독된 사람들, 현실의 자아와 온라인상의 자아의 괴리로 혼란을 겪는 사람들, 혹은 신뢰하던 사람의 페이스북 포스팅에 충격을 받고 패닉에 빠진 사람들이 급증하면서 심리학자들과 정신과 상담의들은 이 낯선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 고심하기 시작했다. 미국 임상심리학자 수재나 E.플로레스 박사의 《페이스북 심리학》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이러한 노력의 첫 결실이라 할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의 장기적 영향이 걱정스러웠던 플로레스 박사는 지난 3년 동안 전 연령대의 페이스북 이용자들을 인터뷰했다. 그는 다양한 사례들을 수집하기 위해 시카고의 길 한복판에서 “소셜미디어에 대해 제게 이야기해주세요”라는 표지판을 들고 서 있었고, 페이스북을 통해 세계 각지의 사람들에게도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자 수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인간관계가 어떻게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는지 이야기하고 싶어했다. 이렇게 수집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페이스북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연구한 그는 소셜네트워크 등장 이후 나타난 사회 변화는 물론이고 개개인의 세계관이나 정서적 변화를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 《페이스북 심리학》은 눈 깜짝할 새에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한 교유와 소통이란 무엇인가 자문하게 하고, 기술문명에 잠식당하지 않은 건강하고 균형 잡힌 사랑과 우정의 방식을 모색하기 위해 창의적인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권한다.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 당신의 마음은 안녕하십니까? 소셜네트워크는 우리가 한 번도 상상해보지 못한 방식으로 우리 모두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는 사회가 인터넷 중심으로 변화된 것을 이제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이게 되었지만, 아직 그에 따른 우리 자신의 개인적 변화, 혹은 자신의 마음과 신체의 변화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플로레스 박사는 이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문제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가 직접 인터뷰한 수많은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사례가 그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존은 자신의 페이스북 뉴스피드를 살펴보다가 사촌들 중 한 명이 올린 사진을 발견했다. 존의 부모님의 차가 처참하게 부서진 사진이었다. (…) 사진 위에는 이런 설명이 붙어 있었다. “맙소사. 이모와 이모부가 자동차 사고로 세상을 떴어!” 존은 자신의 부모님이 자동차 사고로 돌아가셨다는 사실을 페이스북을 통해서 알게 된 것이다. 거의 실성해버린 존은 텍사스에 사는 가족에게 전화를 걸었고 사촌의 페이스북 포스팅은 사실이었다. (…) 결국 존은 엄청난 충격에 빠진 나머지 정신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야 했다. (24쪽) 이 책에 실린 사례들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올린 포스팅이 현실에서만큼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그러든 말든 개의치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째서인지 사람들은 서로를 시시콜콜 알고 싶어하고 자기 삶을 더 많이 공유하고 싶어한다. 현실에서와는 달리 페이스북에서는 나에 대해 무엇을 보여주고 무엇을 보여주지 않을지 선택할 수 있는 데다, 페이스북의 ‘좋아요’ 기능이 이해받고 인정받고 싶어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을 부추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지나치게 자주, 그리고 지나치게 오래 페이스북의 뉴스피드를 스크롤하고 강박적으로 스마트폰을 확인하고 있다. 이것이 계속되면 중독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자칫 페이스북을 통해 만들어진 자아가 현실의 자아와 모순되면 정체성 혼란과 인간관계 갈등, 판단 기준 변화 등을 경험하면서 신경쇠약에 걸릴 위험도 있다. 당신은 페이스북 중독입니까? 미국정신의학협회가 2014년도에 발표한 ‘인터넷 중독 장애(IAD)’에 관한 최근 문헌에 따르면, 인터넷 중독은 특정한 두뇌 이상과 혈류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 (…) 스리 자다팔 의학박사는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보상과 쾌감 중추가 포함된 두뇌 영역에서 혈류 증가가 관찰되고, 청각 처리와 시각 처리를 관장하는 영역에서 혈류 감소가 관찰됩니다.” 이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더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