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형 전자책

- 좋아하는 일을 해도 괜찮을까?
- 저 자 :유희재, 정지연, 이주영, 최여림, 김소라
- 발행자 :지식과감성#
- 등록일 :2023.05.23
- 보유 권수 :3권
- 공급사 :북큐브
- 대 출 :0/3권
- 예약자수 :0명
- 소속도서관 :통합
- 추천수 :0
- 대출 여부 :가능
- 유형 :pdf
- 지원기기 : PC 태블릿 모바일
추천하기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앱 설치 대출하기 목록보기
※팝업차단이 되어있는경우 뷰어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도서 소개
인터뷰어 다섯 명은 2022년 한 해 동안 다양한 방식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가족 인터뷰, 셀프 인터뷰, 작가 인터뷰, 서면 인터뷰, 전화 인터뷰, 오프라인 인터뷰 등을 하면서 다양한 대상을 만났죠. 그리고 자기만의 색채가 담긴 인터뷰 글을 완성했습니다. 전문 기자도 아니고, 직업상 인터뷰를 자주 하는 이들이 아니었기에 쉬운 작업은 아니었어요. 글 한 편 쓰는 데에 다른 어떤 장르보다도 시간과 품이 많이 들었습니다. 인터뷰이 섭외, 만남, 질문지 작성, 실전 인터뷰, 녹취록 풀기, 글로 재구성하기, 글을 다듬고 또 다듬기. 그렇게 해서 완성된 인터뷰집이 바로 이 책입니다.
또한 9명의 인터뷰이는 모두 인생의 전환기에서 남다른 선택을 했던 우리 주변의 이웃들입니다. 난민 인권 활동가 유유리,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 터닝한 송미영, 수학자에서 예술가로 살고 있는 마음터치 우주, 외국계 기업을 떠나 가업을 이은 임국희, 뮤지컬 작가에서 치유 글쓰기 강사가 된 조민영, 간호사에서 논술 교사가 된 길화경, 상담사에서 문화 예술 교육 회사 대표가 된 김민지, 대안 학교 학부모 공동체에서 시작하여 함께 창업한 재재상점, 40년간 공무원에서 시니어 모델이 된 조병희.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의 존재를 발견하고, 인터뷰이 역시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 드러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책은 인터뷰의 결과물로서의 글뿐만 아니라 다섯 명의 인터뷰어들의 진솔한 고백 같은 실패담이나 고민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또한 소소한 초보 인터뷰어들의 알짜배기 팁도 담겨져 있는 실용성까지 갖춘 책입니다.
또한 9명의 인터뷰이는 모두 인생의 전환기에서 남다른 선택을 했던 우리 주변의 이웃들입니다. 난민 인권 활동가 유유리,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 터닝한 송미영, 수학자에서 예술가로 살고 있는 마음터치 우주, 외국계 기업을 떠나 가업을 이은 임국희, 뮤지컬 작가에서 치유 글쓰기 강사가 된 조민영, 간호사에서 논술 교사가 된 길화경, 상담사에서 문화 예술 교육 회사 대표가 된 김민지, 대안 학교 학부모 공동체에서 시작하여 함께 창업한 재재상점, 40년간 공무원에서 시니어 모델이 된 조병희.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의 존재를 발견하고, 인터뷰이 역시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 드러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책은 인터뷰의 결과물로서의 글뿐만 아니라 다섯 명의 인터뷰어들의 진솔한 고백 같은 실패담이나 고민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또한 소소한 초보 인터뷰어들의 알짜배기 팁도 담겨져 있는 실용성까지 갖춘 책입니다.
목차
1장
타인의 고통과 외로움을 본다는 것은 나를 돌아보는 일
난민 인권 활동가 유유리 / 인터뷰어 유희재
2장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 빅 터닝, 마흔이라 도전합니다
두브레인 신사업 기획 운영 총괄 송미영 / 인터뷰어 정지연
3장
수학자에서 예술가로, 나를 더 사랑하게 되는 일을 만나 비로소 자유로워지다
아티스트 마음터치 우주 / 인터뷰어 정지연
4장
외국계 기업을 떠나 남한산성의 작고 오래된 음식점에서 50년 가업을 잇다
용마루 임국희 대표 / 인터뷰어 이주영
5장
바닥을 뚫고 내려간 사람에게만 보이는 세계
치유 글쓰기 강사 조민영 / 인터뷰어 유희재
6장
나를 찾는 여정의 무한 환승 중인
작가 길화경 / 인터뷰어 최여림
7장
상담소 밖으로 나와 문화 예술 교육으로 청소년을 만나다
씨드앤그로우 김민지 대표 / 인터뷰어 이주영
8장
대안 학교 학부모 공동체로 만나 제로 웨이스트 숍 창업까지
재재상점의 쉼표, 랄랄라, 별사탕 / 인터뷰어 이주영
9장
책상머리에서 무대 위로, 공무원에서 시니어 모델로
시니어 모델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한 조병희 / 인터뷰어 김소라
10장
인터뷰가 내게 남긴 것들
타인의 고통과 외로움을 본다는 것은 나를 돌아보는 일
난민 인권 활동가 유유리 / 인터뷰어 유희재
2장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 빅 터닝, 마흔이라 도전합니다
두브레인 신사업 기획 운영 총괄 송미영 / 인터뷰어 정지연
3장
수학자에서 예술가로, 나를 더 사랑하게 되는 일을 만나 비로소 자유로워지다
아티스트 마음터치 우주 / 인터뷰어 정지연
4장
외국계 기업을 떠나 남한산성의 작고 오래된 음식점에서 50년 가업을 잇다
용마루 임국희 대표 / 인터뷰어 이주영
5장
바닥을 뚫고 내려간 사람에게만 보이는 세계
치유 글쓰기 강사 조민영 / 인터뷰어 유희재
6장
나를 찾는 여정의 무한 환승 중인
작가 길화경 / 인터뷰어 최여림
7장
상담소 밖으로 나와 문화 예술 교육으로 청소년을 만나다
씨드앤그로우 김민지 대표 / 인터뷰어 이주영
8장
대안 학교 학부모 공동체로 만나 제로 웨이스트 숍 창업까지
재재상점의 쉼표, 랄랄라, 별사탕 / 인터뷰어 이주영
9장
책상머리에서 무대 위로, 공무원에서 시니어 모델로
시니어 모델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한 조병희 / 인터뷰어 김소라
10장
인터뷰가 내게 남긴 것들
저자 소개
유희재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진로 콘텐츠 개발과 강의를 한다. 교육 출판 기업에서 교육과 연구 개발을 담당했고, 초·중학교 및 공공 도서관에서 진로 교육과 독서 토론, 글쓰기, 문해력 수업을 하고 있다. 읽고 쓰는 삶을 통해 지속 가능한 행복을 찾았다.
정지연
영업 사원으로 고객의 마음을 움직여 매출 기네스를 갱신하는 일을 18년 가까이 했다. 최근에는 빅 데이터 분석 일로 터닝하여 혹독한 도전을 시작했다. 번아웃 직전, 숨구멍 같은 글쓰기를 만났다. 매일 출퇴근길 달리는 지하철에서 오늘의 마음을 기록하고 있다.
이주영
라이프 아트 북 살롱 〈아티스트웨이〉를 운영한다. 책과 예술을 매개로 삶이 예술이 되는 콘텐츠를 기획한다. 《다시, 시작합니다》, 《1 YEAR DIARY》를 공동 집필하였고, 인터뷰를 통해 편견을 하나씩 부수어 나가는 중이다. 누군가의 삶이 응원이 필요할 때 곁을 내어 줄 수 있는 삶에 관심이 있다.
최여림
중국어 교육 기관 대표. 스스로가 주인공이 되어 배우는 삶을 살도록 돕고 있다. 질문으로 연결되는 섬세한 관계를 지향하며 중국어 강사, 퍼실리테이터, 타로 심리 코치, 학습 역량 코치, 마을 공동체 활동가로 N잡의 목록을 갱신하고 있다.
김소라
책방 〈랄랄라하우스〉 대표. 2011년부터 e수원뉴스 시민 기자로 활동 중이다. 《도란도란 토론 레시피》, 《바람의 끝에서 마주보다》, 《사이판 한 달 살기》 등 10권의 책을 집필하였다.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묻고, 기록하고, 글로 담고 책으로 엮는 일을 하고 있다.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진로 콘텐츠 개발과 강의를 한다. 교육 출판 기업에서 교육과 연구 개발을 담당했고, 초·중학교 및 공공 도서관에서 진로 교육과 독서 토론, 글쓰기, 문해력 수업을 하고 있다. 읽고 쓰는 삶을 통해 지속 가능한 행복을 찾았다.
정지연
영업 사원으로 고객의 마음을 움직여 매출 기네스를 갱신하는 일을 18년 가까이 했다. 최근에는 빅 데이터 분석 일로 터닝하여 혹독한 도전을 시작했다. 번아웃 직전, 숨구멍 같은 글쓰기를 만났다. 매일 출퇴근길 달리는 지하철에서 오늘의 마음을 기록하고 있다.
이주영
라이프 아트 북 살롱 〈아티스트웨이〉를 운영한다. 책과 예술을 매개로 삶이 예술이 되는 콘텐츠를 기획한다. 《다시, 시작합니다》, 《1 YEAR DIARY》를 공동 집필하였고, 인터뷰를 통해 편견을 하나씩 부수어 나가는 중이다. 누군가의 삶이 응원이 필요할 때 곁을 내어 줄 수 있는 삶에 관심이 있다.
최여림
중국어 교육 기관 대표. 스스로가 주인공이 되어 배우는 삶을 살도록 돕고 있다. 질문으로 연결되는 섬세한 관계를 지향하며 중국어 강사, 퍼실리테이터, 타로 심리 코치, 학습 역량 코치, 마을 공동체 활동가로 N잡의 목록을 갱신하고 있다.
김소라
책방 〈랄랄라하우스〉 대표. 2011년부터 e수원뉴스 시민 기자로 활동 중이다. 《도란도란 토론 레시피》, 《바람의 끝에서 마주보다》, 《사이판 한 달 살기》 등 10권의 책을 집필하였다.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묻고, 기록하고, 글로 담고 책으로 엮는 일을 하고 있다.